본문 바로가기
  • 가치와 변화를 생각하는 Contents Designer
  • 다른 사람의 삶에 변화를 주고 싶은 Contents Designer
카테고리 없음

버드 스트라이크( Bird Strike)와 랜디 기어( Landing Gear) 손상 관련

by Vanillahai (바닐라하이) 2024. 12. 31.
728x90
반응형

12월 29일 방콕- 무안 7C2216편 제주항공 비행기가 무안 국제공항에서 착륙하던 중 화재 사고가 발생하였습니다. 이에 비행기 사고 피해자분들을 추모하는 마음으로 버드 스트라이크와 랜딩기어 손상 시 대처 방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번 제주 항공 비행기 사고의 희생자를 애도하고 유가족분들의 위로의 말씀을 전합니다.

 

1. 버드 스트라이크( Bird Strike)란 

조류 충돌 또는 조류 항공기 충돌이라고 하며 기본적인 개념은 공중에 있는 동물( 새 또는 박쥐)과 하늘을 이동하는 운송수단( 일반적으로 항공기) 간의 충돌입니다. 비행 안전관련하여 가장 큰 위협이기도 한 버드 스트라이크는 인명 피해로 이어지는 사고가 다수 발생하였습니다. 한국에서 최근 5년여간 국내 공항에서 발생한 버드 스트라이크는 600건이 넘는 것으로 나타났고, 미국에서는 매년 13,000여 건 이상의 버드 스트라이크 사고 가 발생한다고 합니다.  버드 스트라이크 발생 시 새가 비행기 엔진 내부로 빨려 들어가면서 엔진의 손상 및 폭발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이때 엔진이 꺼지는 경우가 발생하면서 비행기의 날개와 창문 그리고 조종장치가 파괴되어  조종사인 기장과 부기장이 위험해지는 경우가 생깁니다.

 

2. 랜딩기어( Landing Gear)란 

비행기의 랜딩 기어란 비행기가 이륙하고 착륙할 때 지면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지상 이동에 필요한 모든 장치를 포괄하는 개념입니다. 일반적으로 크게 앞바퀴인 노즈 랜딩기어와 뒷바퀴인 메인 랜딘기어로 구분됩니다.

□ 주행 기능: 비행기가 활주로 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지상에서의 조작을 가능하게 합니다.

□ 비행기의 구조적 지지: 비행기 착륙 시 충격을 흡수할 뿐만 아니라 브레이크 역할과 비행기의 무게를 지탱하고, 비행기가 공중에 있을 때에도 구조적으로 안정성을 제공합니다.

 

랜딩기어는 일반적으로 두 가지 주요 형태로 나뉘며, 각각의 비행기 설계에 따라 다르게 구성될 수 있습니다

□고정형 랜딩기어: 비행기가 이륙하거나 착륙할 때 항상 노출되어 있는 형태입니다.

□접이식 랜딩기어: 비행기가 이륙 후 공중에서 랜딩기어를 접어 수납함 안에 보관하며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형태입니다.

랜딩기어는 일반적으로 바퀴, 서스펜션 시스템, 그리고 브레이크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번 제주 항공기 참사에서는 랜딩기어가 작동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며 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3. 랜딩 기어 손상 및 작동 불가시 대처 방안은

랜딩기어 손상 시, 비행기의 기장 및 부기장은 바로 관련 시스템을 점검하고, 랜딩기어가 손상되어 작동하지 않으면 비상 착륙 절차를 준비해야 합니다.  

랜딩기어를 자동으로 내릴 수 없을 경우, 수동으로 조작하여 중력으로 랜딩기어가 내릴 수 있는 비상 시스템을 작동합니다. 

바로 화재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연료를 버리거나 비행기 무게를 줄여 착륙 충격을 최대한 줄여야 합니다.이번 사고와 같이 랜딩기어가 완전히 내려오지 않거나 고장 난 경우에는 비행기 동체 하부로 착륙하는 동체 착륙을 시도해야 합니다.

4. 마무리

비행기의 버드 스트라이크나 랜딩기어 손상 등은 그 어느 것도 일어나서는 안 되는 상황이나 이번 제주 항공기 참사에는 버드 스트라이크 가능성이 높고 랜딩기어 손상으로 동체 착륙을 시도하였으나 속도를 줄이지 못하고 활주로 끝단의 구조물과 충돌하면서 피해가 커진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이상으로 버드 스트라이크와 랜딩기어 손상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시 한번 제주항공 비행기 사고 관련 유가족분들에게 위로의 말씀과 피해자 분들의 명복을 빕니다. 

 

 

버드스트라이크관련

반응형